쿠버네티스란

컨테이너화된 애플리케이션의 관리 플랫폼

사용 이유

1. 뛰어난 컨테이너 이식성으로 빠르게 변화 및 확장해야하는 요구사항에 적합
2. 여러 호스트에서 사용되는 컨테이너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3. 시스템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분배 및 사용할 수 있다.

구성 요소

[master node]
- etcd :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의 모든 데이터를 담고 있는 key-value 저장소
- kube-api-server : 쿠버네티스 내의 서비스, 외부 컴포넌트 등이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하는 API
- kube-scheduler : 클러스터 중 자원 할당 가능한 노드 선택 후 파드 생성 역할
- kube-controller-namanger : 파드들을 관리하는 컨트롤러
- cloud-controller-manager : 클라우드 서비스와 연결하여 컨트롤러들을 관리

[worker node]

- kubelet : 다른 노드들과 통신, 컨테이너 관리 및 체크
- kube-proxy : 네트워크 프록시
(proxy : "대리"라는 의미로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접속할 때 직접이 아닌 중간에 대신 전달해주는 서버를 의미)
- runtime : 실제로 컨테이너를 실행시키는 컴포넌트(주로 Docker)

[Basic Object]

- Pod : 컨테이너를 하나 이상으로 모아 놓은 것, 쿠버네티스 애플리케이션의 최소 단위
- Service Volume : pod에 종속되는 디스크 (여러개의 컨테이너 공유해서 사용될 수 있다)
- Namespace : 하나의 클러스터 안의 논리적인 구분 공간 (개발/운영/테스트 3개로 분리 가능)

참고

https://www.redhat.com/ko/topics/containers/what-is-kubernetes
https://ooeunz.tistory.com/118

 

[Kubernetes] 쿠버네티스의 기본 구조와 개념

핵심 개념 쿠버네티스의 핵심 개념을 한 줄로 표현하자면, 계속해서 원하는 상태를 만들기 위해 현재 상태를 바꾸는 플랫폼입니다. 예를 들어 내가 원하는 컨테이너를 쿠버네티스에 알려주면 (D

ooeunz.tistory.com

 

쿠버네티스(Kubernetes, k8s)란? 기본 개념, 사용법, 차이점

쿠버네티스(Kubernetes, k8s)란 컨테이너 운영 자동화와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을 수행하는 도구이며, 컨테이너화된 워크로드와 서비스 관리를 위한 플랫폼을 뜻합니다.

www.redhat.com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Rocky 8  (0) 2023.06.20
Object Storage  (0) 2023.05.21
Redis(레디스)  (0) 2023.04.05
JenKins(젠킨스)  (0) 2023.03.31
SPA(Single Page Application)  (0) 2023.03.2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