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pm(Node Packaged Manager)이란
Node.js 로 만들어진 패키지 모듈을 관리 해주는 툴(yarn도 동일한 기능)
express-generator
- bin-www:서버를 실행하는 파일, 포트번호를 지정해 준다.
- public : 이미지,css,Javascript등의 파일을 포함하고 있다.
- routes : 페이지 라우팅과 관련된 파일을 저장하고, 실제 서버 로직을 구성
- views: 템플릿 파일(jade,ejs)을 포함한다.
- app.js: 핵심적인 서버 역할, 라우팅의 시작점
- package.json: 의존성 관리 및 버전관리
npm VS YARN
- npm은 패키지를 한 번에 하나씩 순차적으로 설치
- yarn은 여러 패키지를 동시에 설치하도록 최적화되어 있어 패키지 설치
- 속도 = yarn > npm
참고자료
https://velog.io/@yoojinpark/npm
https://joshua1988.github.io/vue-camp/package-manager/npm-vs-yarn.html
npm VS yarn | Cracking Vue.js
npm과 yarn npm과 yarn은 자바스크립트 런타임 환경인 노드(Node.js)의 패키지 관리자입니다. 전 세계의 개발자들이 자바스크립트로 만든 다양한 패키지를 npm 온라인 데이터베이스 (opens new window)에 올
joshua1988.github.io
npm이란 무엇인가?
자! 그럼 앞서 node.js를 통해서 서버를 구축할 수 있다는 것까지 살펴봤다. 그렇다고, 그럼 서버를 만들어서 웹사이트와 연결해 보자!. 하지만 서버를 처음부터 다 만들기에는 너무 번거로운 일일
velog.io